바카라 놀이터

그린바이오 산업 5년 내 10조 규모 육성
그린바이오 산업 5년 내 10조 규모 육성
  • 황서영 기자
  • 승인 2023.02.16 1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식품부 혁신 기술 개발 등 3대 전략 발표…수출 5조에 유니콘 기업 15개로
미생물 등 6대 분야 실증 사업 통해 상품화 자원
전문인력 양성 12대 기술 개발…조세 특례 확대
관련 법 제정에 규제 혁신 공공 플랫폼 구축도

정부가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신소재 등을 개발하는 ‘그린바이오’ 분야를 지원, 산업 규모를 2027년까지 10조원으로 키운다고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이달 1일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관련 기자 간담회를 개최함에 이어 16일 브리핑을 통해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국내시장 규모 10조원, 수출 5조원 및 유니콘 기업 15개 등 신생기업 육성을 목표로 ①산업화 촉진 ②혁신기술 개발 인력양성 및 ③산업생태계 조성이라는 3대 추진전략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1일에 진행된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관련 기자 간담회 현장에서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가운데)과 김기연 그린바이오산업팀장(왼쪽)이 향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식품음료신문)
1일에 진행된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관련 기자 간담회 현장에서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가운데)과 김기연 그린바이오산업팀장(왼쪽)이 향후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식품음료신문)

농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산업화를 촉진하고 혁신기술과 인력을 양성해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 규모를 지난 2020년 5조4000억 원 규모에서 2027년까지 2배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수출액도 2020년 2조7000억 원에서 2027년 5조원으로 확대한다.

유니콘 기업도 작년 1곳에서 2027년 15곳까지 늘리며 신생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한다. 이에 그린바이오 전용 펀드 규모를 2027년까지 10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정책금융 등 다양한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종자, 미생물, 동물용의약품,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등 6대 분야에서 산업 거점인 ‘그린바이오 허브(가칭)’를 두고 이를 중심으로 기업의 제품 평가, 실증 등을 지원한다. 케이-종자 단지(K-Seed valley, 김제), 동물용의약품 효능·안전성 평가센터(익산),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정읍), 곤충산업 거점단지(예천), 천연물 소재 허브(올해 공모예정), 국가식품클러스터(익산)를 중심으로 그린바이오 기업의 제품 평가·실증 등 상품화 과정을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그린바이오 소재를 대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올해부터 원료 작물 전용 첨단농장 2곳을 구축하고 2028년까지 소재 생산과 실증 등을 자동화·고속화한 바이오파운드리 시설을 만든다. 바이오 농약·비료, 기능성식품 등의 해외 인증·등록 및 수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고, 기업 수요 유도를 위해 그린바이오 소재 사용을 주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지표에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혁신기술 개발 및 융합형 인력 양성을 위해 핵심기술 분야의 연구개발(R&D)을 확대한다. 12대 핵심기술 관련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단기 프로젝트형 연구 개발을 확대하고, 중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디지털 육종기술, 그린백신 등)는 예비타당성 조사 등 로드맵을 마련·추진한다. 연구개발 기획 시 시장성 있는 과제를 확대하고, 그린바이오 분야 연구개발에 대한 조세특례도 확대 추진한다.

그린바이오 분야와 관련한 두뇌한국21(BK21) 교육연구단과 R&D 사업 등을 통해 연구인력을 육성하는 한편 계약학과, 융합학부, 특수대학원 등을 통해 산업인력을 기른다. 바이오 데이터 코디네이터, 안전생산관리사 등도 양성한다. 이 밖에 전북 익산시와 경북 포항시, 강원 평창군 등에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를 조성해 벤처기업에 시제품 개발, 마케팅, 연구시설 등을 지원한다.

또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 등의 데이터 공개를 확대하고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초고성능컴퓨터를 활용하는 등 고도화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부터 유용 미생물 은행, 기능성 원료 은행 등을 활용해 기업이 원하는 기능성 원료나 미생물 균주 등 소재를 분양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수요 창출을 위해 그린바이오 제품 공공 우선구매제도 도입한다. 공공기관이 기능성 식품, 미생물 비료·농약 등 그린바이오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내용의 제도를 올해 법제화하고 그린바이오 제품의 분류체계와 우선구매 기준을 구체화한다.

농식품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3대 추진전략. (자료=농식품부)
농식품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3대 추진전략. (자료=농식품부)

아울러 그린바이오 규제혁신 등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플랫폼도 구축한다. 기업, 정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를 구성해 규제혁신, 정보공유 및 기업 간 연계 강화 등 민·관이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법(가칭)’도 제정해 안정적인 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고 산업 통계 구축 등 추진체계를 정비해 그린바이오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의 체계적인 이행을 통해 농업과 식품산업의 새로운 가치사슬 구조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도약의 기회가 마련된다”며 “기업들이 세계시장으로 활발하게 진출하며 국가 전체적으로는 탄소저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